오늘은 소프트웨어 방법론 중에 하나인 TDD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TDD란 Test Driven Development의 약자로 테스트 주도 개발이라고 합니다.
작은 단위의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고 이를 통과하는 코드를 추가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구현합니다. 짧은 개발 주기의 반복에 의존하는 개발 프로세스이며, eXtream Programming(XP)의 'Test-First' 개념에 기반을 둔 단순한 설계를 중요시합니다.
목차
TDD 개발주기
Red 단계에서는 실패하는 테스트 코드를 먼저 작성하고, Green 단계에서는 테스트 코드를 성공시키기 위한 실제 비즈니스 코드를 작성한다. Blue 단계에서는 중복 코드 제거, 일반화 등의 리팩토링을 수행한다.
중요한 것은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기 전에 실제 코드를 작성하지 않는 것과, 테스트를 통과할 정도의 최소 실제 비즈니스 코드를 작성해야 하는 것입니다.
일반 VS TDD 개발 방식
일반 개발
일반 개발 방식은 요구사항 분석 -> 설계 -> 개발 -> 테스트 -> 배포 형태의 개발주기를 갖는데, 이 방식은 개발 시간이 길어질 위험성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 소비자의 요구사항이 처음부터 명확하지 않을 수 있다.
- 따라서 처음부터 완벽한 설계는 힘들다.
- 자체 버그 검출 능력 저하 또는 소스코드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 자체 테스트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즉, 처음의 프로그램 정의 혹은 기능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재설계로 인한 과정에서 불필요한 코드가 남거나 중복처리 될 가능성이 큽니다.
개발이 끝난 다음에 테스트를 하므로 작은 부분의 기능 수정에도 모든 부분을 테스트해야 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이렇게 작은 수정에도 전체를 테스트해야하는 문제 때문에 자체 테스트 코스트가 증가됩니다.
TDD 개발
TDD와 일반 개발 방식에서의 명확한 차이점은 테스트 코드를 작성한 뒤에 실제 코드를 작성한다는 점입니다.
설계 단계에서 프로그래밍 목적을 반드시 미리 정의해야만 하고, 미리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해야 합니다.
TDD의 개발 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예외 사항(버그, 수정사항)들은 테스트 케이스에 추가하고 설계를 개선한다.
- 이후 테스트가 통과된 코드만을 코드 개발 단계에서 실제 코드로 작성한다.
TDD의 장단점
TDD의 장점
- 디버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 코드가 내 활동 범위에서 벗어나기 전에 가장 빠르게 피드백받을 수 있다.
- 재설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 추가 구현이 용이하다.
TDD의 단점
- 생산성의 저하
- 익숙해진 개발방식의 변경
'개발 >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개념정리 (0) | 2024.02.02 |
---|---|
아토믹 디자인 이란? (0) | 2024.01.29 |
Multipart/form-data 정리 (1) | 2024.01.27 |
Firebase Improve 기능 정리 (1) | 2024.01.24 |
Firebase Grow 기능 정리 (0) | 2024.01.23 |